히토 슈타이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토 슈타이얼은 독일 출신의 영화 제작자, 작가, 예술가이자 베를린 예술대학교 교수이다. 그녀는 일본영화대학과 뮌헨 영화학교에서 영화를 공부하고, 빈 미술 아카데미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슈타이얼은 군사화, 감시, 세계화 속 미디어의 역할, 이미지와 문화를 다루는 작품을 제작하며, '포스트 진실', '포스트 인터넷'과 같은 개념을 탐구한다. 주요 작품으로는 《사랑스러운 안드레아》, 《보이지 않는 방법- 빌어먹게 유익하고 교육적인 MOV 파일》, 《태양의 공장》 등이 있으며, 다양한 비엔날레와 개인전을 통해 작품을 선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예술가 - 오르칸 텔한
- 독일의 예술가 - 요린데 포크트
요린데 포크트는 알고리즘 기반 작품으로 미니멀리즘과 개념주의 영향을 나타내며 개인적 경험과 감정을 담아 '어린 시절', '가족' 등 다양한 주제를 시리즈 형식으로 탐구하는 독일 개념 미술가이다. - 현대 미술가 - 장 팅겔리
스위스의 조각가이자 화가인 장 팅겔리는 버려진 기계 부품과 산업 폐기물을 활용한 키네틱 아트 작품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누보 레알리즘 운동에 참여, 《메타마틱》 연작과 《뉴욕 찬가》 등의 작품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니키 드 생팔과 협업하여 스트라빈스키 분수와 같은 공공 미술 작품을 제작하기도 했다. - 현대 미술가 - 요제프 보이스
요제프 보이스는 2차 세계 대전 참전 경험과 샤머니즘적 요소를 결합한 예술관을 정립하고 "모든 사람은 예술가다"라는 슬로건과 사회 조각 개념을 통해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독일의 행위 예술가, 조각가, 설치 미술가, 이론가이자 교육자이다.
히토 슈타이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히토 슈타이얼 |
출생일 | 1966년 1월 1일 |
출생지 | 뮌헨 |
국적 | 독일 |
분야 | 영화 제작자 시각 예술가 작가 |
학력 | 일본영화대학교 뮌헨 텔레비전 영화 대학 비엔나 미술 아카데미 |
사조 | 개념 미술 |
수상 | 양현상 케테 콜비츠 상 |
웹사이트 | Research Center for Proxy Politics |
주요 작품 | |
주요 작품 | "How Not To Be Seen. A Fucking Didactic Educational.MOV File" (2013) "태양의 공장 (Factory of the Sun)" (2015) "Hell Yeah Fuck" (2019) "댄싱 매니아 (Dancing Mania)" (2020) "Giant Plant" (2020) |
2. 생애
1966년 1월 1일 독일 뮌헨에서 태어났다. 일본영화대학과 뮌헨 영화학교에서 영화를 공부하고, 오스트리아 빈 미술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59] 1987년부터 1990년까지 도쿄의 일본영화학교에서 이마무라 쇼헤이와 하라 가즈오 아래에서 영화 촬영과 다큐멘터리 영화를 배웠다. 1990년부터 1991년에는 빔 벤더스의 영화 《세상의 끝까지》에서 조감독 겸 테크니컬 코디네이터로 일했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뮌헨 텔레비전 영화 대학에서 다큐멘터리 영화 연출을 공부했다.[4][5][6] 하룬 파로키에게 큰 영향을 받았으며, 영화 역사가 헬무트 페르버를 중요한 멘토로 꼽는다.[7][5] 2003년 빈 미술 아카데미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베를린 예술대학에서 뉴미디어 아트를 가르치고 있으며, 보아즈 레빈과 함께 대리 정치를 위한 연구 센터(Research Center for Proxy Politics)[https://rcpp.lensbased.net/]를 공동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60] 대리정치 연구센터는 기계와 사물, 그리고 인간들의 본질을 탐색하고 성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61]
슈타이얼은 작업과 저서를 통해 포스트 재현(Post-representation), 포스트 진실(Post-truth), 포스트 인터넷(Post-internet) 등 현대 사회와 예술을 관통하는 주요 개념들을 제시하고 탐구한다.
3. 주요 개념
3. 1. 포스트 진실
포스트 진실은 객관적인 사실보다 감정적인 호소가 여론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의미한다.[62] 히토 슈타이얼은 이 용어가 정의되기 이전부터 단일하고 고정적이며 발견의 대상이 되는 진실 관념에 대해 회의하고, 진실의 다수성을 인식하며 적용해 왔다. 슈타이얼은 포스트-재현 상황에서 디지털 이미지의 전 지구적인 생산과 순환이 다큐멘터리 기록의 생산을 비가시적이고 이해하기 어렵게 만드는 역설을 언급했으며, 이를 《진실의 색: 미술분야의 다큐멘터리즘》에서 다큐멘터리즘의 불확정성 원리라는 용어로 정의한다.[63][64]
3. 2. 포스트 인터넷
포스트 인터넷은 인터넷이 보편화된 이후의 사회, 문화적 변화와 예술의 새로운 경향을 지칭한다. 슈타이얼은 인터넷 환경에서 이미지의 생산, 유통, 소비 방식이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권력 관계와 정치적 함의를 탐구한다.
3. 3. 빈곤한 이미지 (Poor Image)
슈타이얼은 '빈곤한 이미지의 옹호'에서 저해상도, 불법 복제, 끊임없이 유통되는 이미지들을 '빈곤한 이미지'로 정의한다. 이러한 이미지는 주류 미디어에서 배제되지만, 동시에 저항과 연대의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주장한다.
4. 작품 세계
슈타이얼은 비디오 에세이, 설치, 퍼포먼스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현대 사회의 다양한 쟁점을 다룬다. 특히, 디지털 기술과 이미지의 관계, 감시 사회, 자본주의와 예술의 관계 등을 탐구한다.
그의 작품은 군사화, 감시, 이주, 미디어의 역할, 세계화, 이미지의 확산과 이를 둘러싼 문화에 대한 주제를 다룬다. 슈타이얼은 순수 미술가의 역할과 명칭을 확장해왔으며, 예술의 프레젠테이션 맥락을 다루려는 경향과 관심사를 통해 이를 드러낸다. 그의 작품은 연구, 인터뷰, 발견된 이미지 수집을 통해 발전되었으며, 법의학적 다큐멘터리와 꿈같은 몽타주 영역에서 교육적인 지향점을 가진 작품으로 완성된다.[19]
최근 몇 년 동안 슈타이얼의 작품은 점점 더 디지털화되는 세상, 기관(박물관 포함), 네트워크, 노동에서 이미지의 지위에 맞서 확장되어 왔다. 그의 작품은 기업의 후원에 대한 주제를 다루었으며, 제도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해왔다.
슈타이얼의 작품은 전통적인 비디오의 경계를 넘어섰으며, 종종 많은 은유와 풍자적 유머 아래 현실을 모호하게 만든다. 그녀는 자신의 작품 ''레드 얼럿''을 "비디오의 한계"[16]라고 언급했다. ''레드 얼럿''은 순수한 빨간색 비디오를 재생하는 세 개의 모니터로 구성되었으며, 슈타이얼의 영화 ''사랑스러운 안드레아''의 정적인 표현으로 의뢰받았다. 빨간색은 테러 경고와 홍등가와 같은 연상을 위해 선택되었으며, 이는 ''사랑스러운 안드레아''에 나타난 군사적 폭력과 포르노적 착취의 주제를 참조한다.
슈타이얼은 1987년부터 1990년까지 도쿄의 일본영화학교에서 이마무라 쇼헤이와 하라 가즈오 아래에서 영화 촬영과 다큐멘터리 영화를 배웠다. 1990년부터 1991년까지는 호주, 일본, 프랑스, 미국, 이탈리아, 포르투갈, 독일에서 빔 벤더스의 영화 《세상의 끝까지》의 조감독 겸 테크니컬 코디네이터로 일했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뮌헨 텔레비전 영화 대학에서 다큐멘터리 영화 연출을 배웠으며, 2003년 빈 미술 아카데미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골드스미스 대학교의 문화 연구 센터에서 가르쳤으며, 2010년부터 베를린 예술대학교 (Lensbased class)에서 교수를 맡고 있다. Vera Tollmann, Boaz Levin과 협동으로 Research Center for Proxy Politics를 설립했다.
4. 1. 비디오 에세이
슈타이얼은 비디오 에세이를 통해 현실과 허구, 다큐멘터리와 픽션의 경계를 넘나들며 복잡한 현실을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그녀는 여러 비디오 매체를 활용하여 물질의 이데올로기를 밝히고자 한다.
슈타이얼의 작품은 전통적인 비디오의 경계를 넘어섰으며, 종종 많은 은유와 풍자적 유머 아래 현실을 모호하게 만든다. 그녀는 자신의 작품 ''레드 얼럿''을 "비디오의 한계"[16]라고 언급했다. 그의 작품은 군사화, 감시, 이주, 미디어의 역할, 세계화, 이미지의 확산과 이를 둘러싼 문화에 대한 주제를 다룬다.
4. 1. 1. 주요 작품 해설
2004년 제작된 '11월(November)'은 히토 슈타이얼의 친구이자 PKK 여성지부단원이었던 안드레아 볼프의 세 가지 정체성을 다룬 비디오이다.[67]2007년작 '사랑스러운 안드레아 (Lovely Andrea)'는 히토 슈타이얼이 일본 유학 시절 본디지 모델 아르바이트를 했다는 설정으로 당시 사진을 찾아 나서는 페이크 다큐멘터리이다. 미디어 이미지와 현실의 관계를 탐구한다.[67]
'적색 경보(Red Alert)'는 알렉산더 로드첸코의 삼부작 '부드러운 패널(Smooth Panels)'(1921)을 오마주한 작업이다.[68]
2013년에 발표된 '보이지 않는 방법- 빌어먹게 유익하고 교육적인 MOV 파일 (How not to be seen. A fucking didactic educational MOV. file)'은 감시 사회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 다섯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1969)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으며, 이미지의 정치성과 권력 관계를 드러낸다.[69]
'미술관은 전쟁터인가? (Is the Museum a Battlefield?)' (2013년)는 미술관의 후원자가 무기 제조업체임을 폭로하며, 미술관이 정치, 경제적 권력 투쟁의 장임을 보여준다. 2018년 국립현대미술관 '역사를 몸으로 쓰다', 2019년 토탈미술관 'The wall and Other Stories'에서 소개되었다.
2014년 작품 '유동성 주식회사(Liquidity, Inc)'는 금융, 기후, 정보 등 다양한 영역에서 유동성이 증가하는 현대 사회의 특징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70][71] 격투기, 기후 체계, 노동, 정보, 시장의 유동성을 혼합한 비디오는 전후 고도 경제 성장 이후의 추락을 보여준다.
'태양의 공장(Factory of the sun)' (2015년)은 가상현실과 현실, 노동과 게임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며, 디지털 이미지 생산과 권력의 관계를 탐구한다. 2015년 '제 56회 베니스 비엔날레'와 2016년 '제 11회 광주 비엔날레' 등에서 소개되었다.
2019년작 'Power Plant'는 디지털 시대의 인공지능과 생태계,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72]
'Social Sim' (2020년)은 사회 시뮬레이션 게임 형식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에너지 소비, 사회 운동 등 다양한 사회 현상을 탐구한다.[74]
4. 2. 설치 및 기타 작업
슈타이얼은 비디오 에세이 외에도 설치, 퍼포먼스, 온라인 프로젝트 등 다양한 형식의 작업을 통해 자신의 예술적, 이론적 관심을 확장하고 있다.'''적색 경보'''(Red Alert, 2007)는 알렉산더 로드첸코의 삼부작을 오마주한 작업으로, 붉은색 모니터를 통해 위험과 욕망의 상징성을 드러낸다.[65][68]
'''가상 레오나르도의 잠수함'''(Virtual Leonardo’s Submarine, 2020)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잠수함 설계와 이탈리아 군수업체 레오나르오 핀메카니카 사이의 연관성을 다룬다.[73]
5. 주요 참여 전시
슈타이얼은 마니페스타, 상하이 비엔날레, 광주 비엔날레, 도쿠멘타, 베니스 비엔날레, 이스탄불 비엔날레 등 주요 국제 미술 행사에 참여했다.[8][9][10][11][12][13][14][15] 2007년에는 영화 ''러블리 안드레아''[10]가 카셀에서 열린 도쿠멘타 12에 전시되었다.
또한 런던 현대 미술 연구소(2014),[14] 뉴욕 아티스트 스페이스(2015),[15] 도르트문트 하트웨어 메디언쿤스트페라인(2016)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16]
5. 1. 비엔날레
슈타이얼은 베니스 비엔날레, 광주 비엔날레, 상하이 비엔날레, 도쿠멘타 등 주요 국제 미술 행사에 참여하여 작품을 선보였다.[8][9][10][11][12][13][14][15] 연도별 참여 비엔날레는 다음과 같다.연도 | 비엔날레 | 비고 |
---|---|---|
2004 | 베를린 비엔날레 | |
2004 | 마니페스타 5 | 유럽 현대 미술 비엔날레 |
2007 | 도쿠멘타 12 | |
2008 | 상하이 비엔날레 | |
2010 | 광주 비엔날레 | |
2013 | 베니스 비엔날레 | |
2013 | 이스탄불 비엔날레 | |
2015 | 베니스 비엔날레 | 독일관 |
2016 | 광주 비엔날레 | |
2016 | 상 파울로 비엔날레 | |
2016 | 베를린 비엔날레 | |
2019 | 베니스 비엔날레 | 아르세날레 |
5. 2. 주요 개인전
연도 | 전시 |
---|---|
2010 | 런던 치젠헤일 갤러리[10] |
2012 | 뉴욕 E-flux[12] |
2012 | 시카고 미술관[12] |
2014 | 네덜란드 반 아베 미술관[14] |
2014 | 런던 현대 예술 연구소[14] |
2014 | MUNTREF에서 비엔날레 데 라 이마겐 엔 모비미엔토(BIM)의 일부로 개최[14] |
2014 | 뉴욕 앤드루 크렙스 갤러리[14] |
2015 | 뉴욕 아티스트 스페이스[15] |
2015 | 베를린 KOW[15] |
2015 | 마드리드 국립 소피아 여왕 미술관[15] |
2016 | 로스앤젤레스 현대 미술관[16] |
2016 | 독일 도르트문트 하트웨어 메디언쿤스트페라인[16] |
2018 | 토리노 리볼리 성 현대 미술관[18] |
2019 | 런던 서펜타인 갤러리[19] |
2020 | 캐나다 온타리오 미술관[20] |
2022 | 암스테르담 시립 미술관[76] |
2022 | 대한민국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히토 슈타이얼-데이터의 바다»[76] |
6. 수상 내역
연도 | 수상 내역 |
---|---|
2010년 | 코펜하겐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NEW:VISION Award (영화 《자유 낙하》)[52] |
2015년 | EYE Prize[53] |
2016년 | 양현미술상 |
2019년 | 케테 콜비츠 상 |
7. 저술 활동
슈타이얼은 E-flux와 같은 온라인 미술 저널에 자주 기고했으며, 다음과 같은 글을 썼다.
- 2007년, ''다큐멘터리의 불확실성'', ''A Prior Magazine'' 15호.
- 2009년, ''비판의 제도'', ''예술과 동시대 비평적 실천: 제도 비판의 재발명''.
- 2009년, ''가난한 이미지의 옹호'', ''E-flux'' 10호.
- 2010년, ''너와 나 같은 것'', ''E-flux'' 15호.
- 2012년, 베라르디와 함께 ''스크린의 비참한 자들''.
- 2014년, ''히토 슈타이얼: 너무 많은 세계''.
- 2016년, ''표상 너머 / Beyond Representation: 에세이 1999–2009.''
- 2016년, ''빵이 없으면, 예술을 먹어라!: 동시대 미술과 파생적 파시즘'', ''E-flux'' 76호.
- 2017년, ''면세 예술: 행성적 내전 시대의 예술''.
- 2008년, ''진실의 색. 예술 분야의 다큐멘터리즘'' (2017년 재발행)
- 2004년, ''테스터.''
- 2003년, ''"하위 주체는 독일어를 말하는가?" 탈식민 비판과 이주.''
참조
[1]
웹사이트
Hito Steyerl
http://www.e-flux.co[...]
2014-08-10
[2]
웹사이트
Neues Forschungszentrum für Technoästhetik an der Münchner Kunstakademie
https://www.sueddeut[...]
2024-07-20
[3]
웹사이트
Research Center for Proxy Politics
http://rcpp.lensbase[...]
2016-12-29
[4]
웹사이트
document 12
http://www.documenta[...]
2014-08-10
[5]
웹사이트
Life in Film
http://www.frieze.co[...]
2014-08-10
[6]
웹사이트
Artist profile: Hito Steyerl
http://thisistomorro[...]
2014-08-10
[7]
웹사이트
Beginnings – Journal #59 November 2014 – e-flux
https://www.e-flux.c[...]
2018-07-22
[8]
웹사이트
Manifesta 5 artists
http://www.manifesta[...]
2014-08-10
[9]
Youtube
Hito Steyerl DeriVeD (2008) 7th Shanghai Biennial
http://vimeo.com/381[...]
2014-08-10
[10]
웹사이트
U B U W E B – Film & Video: Hito Steyerl – Lovely Andrea (2007)
http://www.ubu.com/f[...]
2017-03-29
[11]
웹사이트
documents 12: overviewd
http://www.documenta[...]
2014-08-10
[12]
웹사이트
Hito Steyerl: Biography
https://web.archive.[...]
2014-08-10
[13]
간행물
13th Istanbul Biennial
2013-12-01
[14]
뉴스
In-yer-face art: the best of Venice Biennale 2015 – in pictures
https://www.theguard[...]
2022-11-11
[15]
웹사이트
Biennale Arte 2019 {{!}} Hito Steyerl
https://www.labienna[...]
2020-01-05
[16]
웹사이트
Hito Steyerl, interview at Documenta 12
https://vimeo.com/68[...]
2017-03-29
[17]
웹사이트
Hito Steyerl: How To Build a Sustainable Art World
https://ocula.com/ma[...]
2019-10-18
[18]
웹사이트
App art — a playground for new ideas
https://www.ft.com/c[...]
2023-12-28
[19]
웹사이트
Liquidity Inc. {{!}} icaboston.org
https://www.icabosto[...]
2019-03-23
[20]
웹사이트
Archive Past Exhibitions Hito Steyerl
http://www.chisenhal[...]
2014-08-10
[21]
뉴스
Hito Steyerl Has New York Solo Debut at e-flux
https://www.nytimes.[...]
2014-08-10
[22]
웹사이트
focus: Hito Steyerl
http://www.artic.edu[...]
2014-08-10
[23]
웹사이트
Van Abbemuseum: Detail
http://vanabbemuseum[...]
2014-08-10
[24]
웹사이트
"What's On: Hito Steyerl"
https://www.ica.org.[...]
2014-08-10
[25]
웹사이트
Exposición: En defensa de la imagen pobre
http://bim.com.ar/ex[...]
2014-11-21
[26]
웹사이트
Proyecciones: Arte, control y dominación. 3 películas de Hito Steyerl
http://bim.com.ar/pr[...]
2014-11-21
[27]
웹사이트
Andrew Kreps Gallery
http://www.andrewkre[...]
2016-02-26
[28]
웹사이트
Hito Steyerl
http://artistsspace.[...]
2015-05-31
[29]
웹사이트
Hito Steyerl – Exhibitions – KOW
http://www.kow-berli[...]
2016-02-26
[30]
웹사이트
Hito Steyerl. Duty-Free Art
http://www.museorein[...]
2016-04-08
[31]
웹사이트
Hito Steyerl: Factory of the Sun
http://www.moca.org/[...]
2016-02-26
[32]
웹사이트
http://www.hmkv.de/_[...]
[33]
웹사이트
https://www.castello[...]
[34]
웹사이트
Hito Steyerl: Power Plants
https://www.serpenti[...]
2022-10-21
[35]
웹사이트
Hito Steyerl: This is the Future
http://www.ago.ca/ex[...]
2020-02-09
[36]
웹사이트
Exhibition Hito Steyerl: I will survive at the Stedelijk Museum Amsterdam
https://www.stedelij[...]
2022-10-21
[37]
웹사이트
MoMA {{!}} Hito Steyerl's HOW NOT TO BE SEEN: A F**king Didactic Educational .MOV File
https://www.moma.org[...]
2017-03-29
[38]
웹사이트
Is the Museum a Battlefield
https://vimeo.com/76[...]
2017-03-29
[39]
웹사이트
Selected Works – Hito Steyerl – Artists – KOW
http://www.kow-berli[...]
2017-03-29
[40]
웹사이트
Hito Steyerl at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https://www.artforum[...]
2023-06-22
[41]
웹사이트
Liquidity Inc. {{!}} icaboston.org
https://www.icabosto[...]
2017-03-29
[42]
웹사이트
Selected Works – Hito Steyerl – Artists – KOW
http://www.kow-berli[...]
2017-04-11
[43]
웹사이트
Hito Steyerl: Factory of the Sun
http://www.moca.org/[...]
2017-03-29
[44]
뉴스
In 'Drill,' Hito Steyerl Adds Polish to Images of a World Gone Mad
https://www.nytimes.[...]
2019-07-05
[45]
웹사이트
Drill : Program & Events
http://armoryonpark.[...]
[46]
뉴스
Out of the shadows
2023-06-23
[47]
뉴스
Post-internet artist Hito Steyerl on refusing honours, buying her work back – and fighting big tech
https://www.theguard[...]
2023-06-26
[48]
웹사이트
MoMA {{!}} Hito Steyerl. How Not to Be Seen: A Fucking Didactic Educational .MOV File. 2013
https://www.moma.org[...]
2019-03-23
[49]
웹사이트
Liquidity Inc. {{!}} icaboston.org
https://www.icabosto[...]
2019-05-02
[50]
웹사이트
power 100 / ArtReview
https://artreview.co[...]
2020-01-05
[51]
웹사이트
Power 100
https://artreview.co[...]
2023-12-08
[52]
문서
Thinking Outside the Doc Box
https://www.indiewir[...]
Indiewire
2014-08-10
[53]
웹사이트
Hito Steyerl wins the inaugural EYE Prize
http://www.e-flux.co[...]
e-flux
2015-09-09
[54]
문서
Hito Steyerl
http://www.kunstaspe[...]
kunstaspekte.de
[55]
간행물
Research Center for Proxy Politics
http://rcpp.lensbase[...]
2016-12-28
[56]
Citation
Hito Steyerl, interview at Documenta 12
https://vimeo.com/68[...]
2013-06-12
[57]
웹사이트
Liquidity Inc. {{!}} icaboston.org
https://www.icabosto[...]
2019-05-10
[58]
웹인용
Power 100
https://artreview.co[...]
2021-01-31
[59]
웹인용
히토 슈타이얼의 뉴미디어 아트
https://news.hmgjour[...]
2021-01-31
[60]
웹인용
Hito steyerl
https://www.tate.org[...]
2021-01-29
[61]
웹인용
Research Center for Proxy Politics
https://rcpp.lensbas[...]
2021-01-31
[62]
웹인용
Post-Truth {{!}} Definition of Post-Truth by Oxford Dictionary on Lexico.com also meaning of Post-Truth
https://www.lexico.c[...]
2021-01-29
[63]
저널
포스트-재현, 포스트-진실, 포스트인터넷-히토슈타이얼의 이론과 미술 프로젝트
현대미술학회
2017-12
[64]
서적
진실의 색: 미술분야의 다큐멘터리즘
워크룸프레스
2019-08-09
[65]
웹인용
Hito Steyerl
https://artistsspace[...]
2021-02-01
[66]
웹인용
Hito Steyerl
https://www.e-flux.c[...]
2021-02-01
[67]
웹인용
ヒト・スタヤル インタビュー – ART iT アートイット:日英バイリンガルの現代アート情報ポータルサイト
https://www.art-it.a[...]
2021-01-31
[68]
웹인용
Interview with Hito Steyerl about two of her films at Documenta 12
https://vimeo.com/ch[...]
2021-02-01
[69]
웹인용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https://communicatio[...]
2021-01-29
[70]
웹인용
Liquidity Inc. {{!}} icaboston.org
https://www.icabosto[...]
2021-01-29
[71]
웹인용
히토 슈타이얼의 뉴미디어 아트
https://news.hmgjour[...]
2021-01-31
[72]
웹인용
공간은 갤러리, 전시작은 미술관급...이 전시 놓치지 마라
https://www.joongang[...]
2021-01-31
[73]
웹인용
Hito Steyerl. I Will Survive
https://www.kunstsam[...]
2021-01-29
[74]
웹인용
Hito Steyerl. I Will Survive
https://www.kunstsam[...]
2021-01-29
[75]
웹인용
Hito Steyerl
https://artistsspace[...]
2021-02-01
[76]
웹인용
히토 슈타이얼 - 데이터의 바다
https://www.mmca.go.[...]
2022-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